
누구나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확장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학생, 시민, 장애인, 노인 교육 대상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지역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문화취약지역 맞춤형 프로그램을 기획/운영 했습니다. 더불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획 세미나를 운영하고, 동향 리포트를 발간함과 동시에, 중장기 방안 연구도 추진했습니다.
세부 사업별 진행 과정 및 결과는 자세히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사업 관련 결과물은 자료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비대면 상황과 온라인 활용 매체 특성을 반영하여 학생, 시민,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문화예술교육자를 위한 사업을 지원했습니다. 변화된 문화예술교육 환경 지원을 위해 오픈 토크, 대외공유 세미나를 진행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논의했습니다. 더불어 저작권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및 플랫폼 수요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현장에서 수업 준비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콘텐츠, 공간 및 기기 정보를 제공 했습니다.
세부 사업별 진행 과정 및 결과는 자세히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사업 관련 결과물은 자료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가 교육 운영에 참고 가능한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와 직접 제작을 위해 활용가능한 공간 및 기기 정보 제공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환경에서도 문화예술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고,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였습니다. 또한,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문단, 세미나 등을 통해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였습니다.
세부 사업별 진행 과정 및 결과는 자세히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사업 관련 결과물은 자료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