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지사항

「내가 만드는,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국민정책제안 공모 심사 결과 안내

2019-12-19 | 담당부서 : 국제협력팀 | 조회수 : 4838

  • [붙임]「내가 만드는,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국민정책제안 공모 심사 결과 안내.hwp

 

「내가 만드는,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국민정책제안 공모 심사 결과 안내 

 

 

「내가 만드는,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국민정책제안 공모에 지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심사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최종 선정 및 입상자 명단

 ㅇ 대상/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 수상작

수상구분

대표자

제안명

대상

선정작 없음

최우수상

*

Our Studio (우리 스튜디오)

*

프로그램 펀딩‘나만의 아르떼’

*

교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예술가‧마을연계 예술교육프로그램,‘움:창작스튜디오’

우수상

*

혁신도시 新문화소외계층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

아픈 역사(Sick History)의 치유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

미래 문화예술교육 디딤돌 ‘온라인 아트클래스’ 플랫폼 및

시스템 구축

장려상

*

빈촌집을 문화적인 공간으로 활용

*

오후를 여는 클래스(찾아가는 직장인 클래스)

*

앎이 삶이 되는 문화: 시민들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SDGs 박물관

*

내 몸과 마음이 자유로워지는 시간

*

일상을 위한 추상 – 여성‧성소수자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아트 교육

*

지역 청소년을 위한 특별한 문화예술 공간 개방 STARS 프로그램 운영 방안

*

문화예술로의 숲 ‘예술‧마을 교육가(강사) 플랫폼’

*

창작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자발적 관심과

대국민 수요 확대

*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공유 인프라 강화 정책

*

지역 예술자원의 선순환‘예술방앗간’

*

언어생활의 약자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ㅇ 입선 수상작 (가나다 순)

 

대표자

제안명

간*숙

어르신 예수리 버스타고 문화 예술 하러가요.

강*선

일상의 혐오를 벗어나다

권*혜

미래 서당 프로젝트

권*원

15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권*얀

마음, 마을

김*연

지역 내 플라스틱 수거를 통한 예술작품 만들기

김*균

우리동네 악단

김*운

배달해주는 문화예술 도시락

김*윤

신중년을 위한 문화 디지털 에이징 

김*성

사회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경계 넘이’

김*정

마을생활문화예술창작소(마을에서 꽃피우는 문화예술)

김*철

공기정화용 문화예술작품으로 동네문화공간 활성화하기

김*인

공공인프라 및 문화복지 전문인력기반 실버문화복지 활성화

김*준

당신의 삶에 귀 기울입니다

김*내

  아파트 공동체 공간을 활용한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김*주

민주시민교육과의 융합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김*택

학교에서 신나게 놀아보기 

김*진

시간여행 서점

김*아

엄마들끼리 만나 예술로 힐링하다 하원 후  이들이랑 예술 놀이터 가요!

김*희

SUM ; project ( 숨; 프로젝트)

김*현

청주 관광예술문화 복구 프로젝트 “CJ코인”

김*연

You Know?(乳老)장구

김*숙

창작의 플랫폼 ‘Story Stick’

김*주

나만의 후르츠 하우스

김*진

전 국민1인1악기 배우기 운동

김*정

HONEYCOMB NATURAL STRUCTURE ART PROJECT

김*진

내가 만든 ‘디지털 명화 스토리 eBook’ 제작과 전시

김*진

   소중한 추억과 이야기가 있는 우리 동네

김*희

내 예술 작품이 돈이 된다!

노*현

혁신도시 이전기관 및 지역주민 문화예술여행 (“우리 어디가?”)

노*숙

음 향한 일편단심, 곱게 지어 펼칠레라

문*호

공원에서10대부터90대까지 모두가 즐기는 요가

박*찬

문화로 예술로 거리로

박*애

나를 찾는 시간

박*지

 환경습관#힛클린

박*

빠진 마디(보물) 찾기“아날로그”를 찾아서

박*진

문화 가판대(아파트로 찾아가는 문화예술)

박*영

‘공동구매’를 응용한 우리 동네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배*희

생애주기별 문화예술 공연 무료 관람 쿠폰 발급

변*이

<개미슈퍼 재오픈>

서*림

우리 동네1:1 예술 멘토

손*은

박물관 지역의, 이야기를 전시하다

손*진

엄마를 위한 그림책 한권 “엄마 사람”

손*현

어린이를 위한 전통 예술 교육 프로그램 기획안

손*현

외국vs우리나라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의 장단점 비교·분석 및 보완대책

송*희

30-40대 미취업 여성 살롱

신*연

시니어 정보화 교육 커리큘럼 및 교안 개발

신*주

영유아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 그림책 테이블>

안*리

아트수집: 노트를 나눠 드립니다!

양*진

One and Only (당신만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엄*희

우리 옆집에는 시인이 살아요

연*진

쓰레기도 알고보면 미술 재료

유*호

종교 단체와 함께 하는 화합의 문화공동체 구축 프로그램

유*선

‘ 산부인과로 간 예술강사 ’

유*근

드림 유튜버 육성 프로그램

유*수

중간 경력자들의 교육시스템 구축을 통한 상생 발전

유*리

매실청

이*환

 우리 동네 멋진 공연장 활용하기!

이*혜

노인을 위한 주말 문화예술학교

이*우

우리 다문화(중략) 키우는 프로그램 아이디어

이*헌

아트크라우드

이*향

밀레가 읽어주는 그림책 도서관

이*빈

세상을 표현하고 예술이 된A(arts)이들

이*경

도전, 누구나 실패해도 되는 프로그램

이*희

문화예술교육 종합정보시스템- Artech

이*란

We 뽀짝뽀짝(‘가까이하다’라는 전라도 방언) 다이닝!

이*희

사글사글(사진+글+사진+글), 사진일기

이*희

인공지능 등<4차산업 융합예술지원 플랫폼 운영>

이*윤

국내 사회·문화적으로 세대·민족간 다양성에 따른 한국 문화(한류)를 매개로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정책적 제안

이*주

<미술관과 함께하는 우리집 예술놀이>

이*아

[우리들의 뮤비여행기] 떠나요! 우리나라 전국 여행

임*호

 공터 가꿔 새 터로

임*영

 오이ž가지 먹는100가지 방법(밥으로 통하는 모임)

임*현

문화예술교육어플을 통한 문화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장*연

홀로룰루: 홀로서기를 위한A to Z

장*석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 방안 10가지

장*애

당신이 일하는 그곳에서! 찾아가는 문화, 예술 교육

전*수

우리 마을 청소년 예술놀이터[줄임말: 예놀터]

정*률

시골학교 특별 영화감상활동 편성 아이디어

정*라

공간통합하기

정**아

“파머(Farmer)의 아뜰리에”

정*우

인터넷 방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정*애

어서와, 이런 한국 문화 예술 처음이지?

정*경

방학엔 우리 모이자

조*욱

 유아 문화예술교육 협업모델: <예술강사와 이야기할머니>

조*영

동화책을 이용한 전 생애주기별 문화 콘텐츠 교육 활성화

조*빈

비어있는 책방

조*연

삶의 행복에 대하여  주변에 대한 사소한 관심의 시작 “거울달팽이”

조*민

문화예술의 날

조*산

스스로 칠하는 삶

조*기

너의 생각 나의 생각을 모아 포럼연극!

지*민

 교육 영화제 개최를 통한 영화 교육 활성화 방안

진*리

언제 어디서나 즐기는 워라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아이디어

최*식

할머니가 쓰는 물건으로 우리는 기억해

최*린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집단예술치유 프로그램

최*혜

세상에서 가장 작은 영화제

최*민

문화예술교육IT 플랫폼 개발

한*원

세대 간에 함께 풀어 보아요!  문화예술교육

한*주

“취향으로 만나는 사람들- ○○○ART SALON”

한*주

상상력이 팝콘처럼 터지는 ‘상상력 보물창고’

한*

매표소 문화 카페

한*진

예술로 취미 찾기

한*우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메이커교육을 위한 학교예술강사의 역량강화 방안

한*주

예술문화를 통한 생애주기별 포괄적 성 문화 교육

홍*

우리 세대 폴더 속 이야기

홍*선

2⋅30대 청년 문화예술 교육지원

황*진

노인에게 즐거운 여가시간과 성취의욕을 제공하는‘

시니어&주니어 듀엣 노래 대회’

 

 

□ 심사 총평

  ㅇ 다양한 연령대 및 소속 참가자들의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제안이 많아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과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음

  ㅇ 선정작은 공모 취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문제의식을 갖고, 실행 가능한 기획을 담은 제안서를 중심으로 선정하였음

  

□ 향후 일정

  ㅇ 수상자 대상 개별 연락 안내 및 상금 지급 (12월 4주 이내)

 

□ 기타사항

  ㅇ 입상하지 않은 응모작의 경우 3개월 이내에 모두 폐기 예정

  ㅇ 수상작은 추후 저작권 관련 협의 진행 예정

 

□ 문   의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제협력팀 (02-6209-595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