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강사 면접심사 결과 안내
|
「2020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관심을 갖고 응시해 주신 각 분야별 예술강사 지원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0년 전국 아동·노인·장애인 복지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할 예술강사 면접심사 결과를 아래와 같이 공지합니다.
2020.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 면접심사 결과 : 통합운영시스템 확인
ㅇ 확인방법
통합운영시스템 로그인
|
▶
|
‘접수관리’ 클릭
|
▶
|
‘접수조회‘ 클릭
|
▶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원상태>의
‘면접 합격’ 확인
|
□ 면접심사 총평(공통)
ㅇ 심사기준을 중심으로 사업 취지 및 복지시설 환경, 참여자 이해를 기반으로 분야별 전문성이 확인되는 교육활동계획의 적합성과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외 현장의 돌발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 참여자와의 관계형성 등 의사소통 능력, 갈등상황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함
ㅇ 참여자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 매체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교육활동계획의 구성 시도 등이 고무적이나, 참여자 및 환경에 대한 고려 없는 특정 소재 활용의 중복 등 교육계획안의 일반화 경향이 나타남
ㅇ 일반화된 교육계획에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새롭게 선정한 주제를 탐구하여 구성한 교육과정의 경우, 변화하는 환경 및 참여자 특성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교육계획을 발전시키려는 연구적 자세가 돋보이는 경우 높은 점수를 부여함
ㅇ 복지시설 및 참여자 특성 등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우, 기존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활용하거나 기능습득 중심의 일방향적 교육활동의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함
ㅇ 변화하는 대상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참여자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인 교육활동 연구가 필요하며 교육대상의 구체적인 이해 및 대상 특성에 적합한 교육활동 계획이 요구됨
- (아동) 변화하는 아동 특성 및 복지시설 환경에 대한 사전 조사 및 이해도 제고가 요구되며 유연한 수업 설계 및 특수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보완, 다층적인 교육활동 연구 등이 필요함
- (노인) 삶에 대한 향수 외 경험·지혜·창의성·도전성 등 참여자의 다양한 요구들을 반영한 교육활동 및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노년세대의 문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
- (장애인) 참여자의 예술적 표현을 창의성 및 독창성의 맥락에서 읽어내는 긍정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장애 유형별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과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 통합 기여도를 반영한 교육활동 계획이 요구됨
ㅇ 대상별 ‧ 분야별 복지시설의 권역별 수요 및 지원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함
□ 대상별․분야별 총평(개별) : 첨부파일(한글) 참조
□ 향후 일정
ㅇ 복지시설-예술강사 최초 배치결과 공지 : 2020. 1월 3주 (예정)
ㅇ 예술강사 오리엔테이션 : 2020. 2월 2주 이내 (예정)
ㅇ 복지시설 사전방문 : 2020. 3월 1주 이내 (예정)
ㅇ 배치조정 : 2020. 1월 4주 ~ 4월 5주 (예정)
ㅇ 근로계약 체결: 2020. 3월 이내 (예정)
□ 문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나눔팀
ㅇ 전 화 : 02-6209-1326, 1317
ㅇ 이메일 : social@art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