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 비대면으로 만나는 <생애.전환.학교>
- 북 콘서트(7.9(금),16(금), 전환워크숍(7.23.(금), 8.20.(금)) 개최
- 인생전환점에 선 신중년 세대(50-64세) 위한‘창의적 전환의 삶’모색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이규석, 이하 교육진흥원)은 신중년 세대(50~64세)를 위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북 콘서트와 전환 워크숍을 개최한다.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은 인생전환점에 선 신중년 세대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주체적으로 삶을 해석하고 성찰하는 전환의 경험을 맞이하고, 이를 문화적 삶으로 지속할 수 있도록 기획한 프로그램으로, 2018년 처음 시작되었다.
※ 2021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전국 11개소 운영 중
- 올해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는 광역문화예술교육센터 9개소와 기초지역문화재단 2개소에서 운영 중이다. ▲경남_고마운 내 인생, 쓸만한 교(敎), ▲세종_청춘참견학교, ▲대전_느끼는대로 예술학교, ▲인천_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충남_이짝 워뗘? 시즌3, ▲전남_자신만만 & 몽글몽글학교, ▲경북_세 번째 스무살, ▲강원_오롯이, 비로소 ‘찾다’, ▲서울_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인천 연수_신중년 인생2막 변주곡 Song-Do! 제멋대로 학교, ▲강원 태백_삶속 예술기호들 등이 신중년 세대를 만나고 있다.
|
‘생애전환의 필요성’, ‘다양한 활동사례와 의미’를 다루는 비대면 북 콘서트 진행
<생애.전환.학교> 북 콘서트는 다양한 현장에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개발·운영해온 전문가들(11인)이 공동으로 저술한 서적 ‘생애.전환.학교’를 바탕으로 하며, 오는 7월 9일(금)과 16일(금) 오후 2시 교육진흥원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로 만나볼 수 있다.
먼저 7월 9일(금)에는 “신중년 세대를 위한 생애전환의 필요성과 문화예술의 철학적 방향”을 주제로 진행하며 고영직 문학평론가, 정원철 전 추계예대 교수, 백현주 전 수원시평생학습관 기획실장, 현혜연 중부대 교수가 함께한다.
7월 16일(금)에는 “생애전환 문화예술 현장의 다양한 활동 사례와 의미”를 주제로 구민정 서울시 50+인생학교 부학장, 정성원 전 수원시평생학습관 관장, 안태호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가 여러 구체적 활동 사례와 함께 다양한 의견을 공유한다.
이번 북 콘서트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생애전환에 관심 있는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유튜브 시청을 통해 참여 가능하다.
‘주제‧방법 탐색’ 위한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대상 온라인 생애전환 워크숍 진행
7월 23일(금), 8월 20일(금)에는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참여하는 매개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생애전환 워크숍>을 진행한다. 신동호 인문사회연구소 소장, 최명진 무등산풍경소리 아하갤러리 관장, 황정옥 경성대 외래교수 등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추진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7인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주제와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100세 시대, 신중년의 새로운 인생 전환의 계기와 도전 필요
교육진흥원 관계자는 “이번 북 콘서트와 전환 워크숍은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중위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인생 전환점에서 어떻게 하면 ‘창의적 전환의 삶’을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향후 교육진흥원은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가치 확산을 위해 지역거점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북 콘서트와 전환워크숍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누리집(www.arte.or.kr) 및 공식 누리소통망 채널(www.youtube.com/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참고하면 된다.
붙임 1. <생애.전환.학교 북 콘서트>, <2021 생애전환 워크숍> 개요
2. 생애.전환.학교 북 콘서트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