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심사기준에 따라 프로그램의 창의성 및 적합성, 발전 가능성, 개발 역량 을 고려하여 심사하였으며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과 경험이 담긴 지원동기, 타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및 주제의 참신함, 개발 내용의 명확한 방향성 및 완성도, 추후 멘토링을 통한 발전 가능성과 추후 프로그램 시연·현장 활용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습니다.
ㅇ 다양한 매체 활용과 융합적 시도, 전통문화와 지역과의 연계성, 코로나로 인한 온택트 시대, 디지털 공간으로의 흐름 등 시의성 있는 주제와 내용들이 폭넓게 제시된 점은 좋으나, 포괄적인 주제 선정으로 불명확한 교육 목표와 대상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부족한 측면이 아쉬웠습니다. 추후 멘토링을 통해 보완점을 찾아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