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업공모·입찰

공모결과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 운영기관 선정 결과

2022-04-15 | 담당부서 : 시민교육팀 | 조회수 : 2956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 
운영기관 공모 최종 선정 결과 안내

 「2022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프로그램」 운영기관 공모에 참여해 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최종 심사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최종 선정 결과
연번
유형
대학명
책임연구원
프로그램 명(안)
1
지역협력형
서울신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주 
포레스토리(Forestory), 나의 여름방학 너의 가을방학
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정 
포임 플레이 <종을 울리는 아이들>
3
신규기획형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이*준
우리끼리, ㅋㅋㅋ
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연 
우리. 모두. 함께! 예술로 셰계시민 캠퍼스
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리 
오래된 오늘. 미래를 춤추자!
6
서울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현 
코드명 Z- 꿀벌실종사건
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병 
오페라 DREAM
8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나 
생쌩 토리큐브

□ 심사 총평 
ㅇ 서류 및 온라인 인터뷰 심사를 통해 최종 8개 기관을 선정하였음. 이중 해당 공모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은 7개, 신규 신청한 대학은 1개임
ㅇ 다양하고 풍족한 아이디어들로 지역과 대학 간의 담을 내려 문화예술교육의 뿌리를 내리려는 각 단체들의 노력이 돋보였음. 
ㅇ 서류 및 온라인 인터뷰 심사를 통해 최종 8개 기관을 선정하였음. 이중 해당 공모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은 7개, 신규 신청한 대학은 1개임
ㅇ 다양하고 풍족한 아이디어들로 지역과 대학 간의 담을 내려 문화예술교육의 뿌리를 내리려는 각 단체들의 노력이 돋보였음. 
ㅇ 전반적으로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복합 활용하는 전문적인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교육적 목표와 방향 및 연계성이 모호하게 진술되어 어떠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는지가 서류 상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고 면접 질의를 통해 이해되는 기관이 많았음. 심사 과정에서는 대학 보유 자원을 활용한 예술교육에 대한 고민과 최근 트렌드를 반영하려고 노력하였음
ㅇ 공모 유형으로 지역협력형과 신규기획형을 구분하였으나, 진흥원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것으로 보임. 지역협력형의 경우, 지역연계와 관련된 숙고점, 프로그램 상의 차별성, 대상 선정, 결과 공유 등에서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음
ㅇ 신규기획형에서는 기존 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기관과 신규 참여 희망 기관 사이에서 프로그램 구체화 역량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 기존 참여 기관의 경우 교육 방향이나 방법적 측면의 변화보다는 교육 소재 변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신규기획으로 지원하였으나 지역협력형의 면모가 드러나는 경우도 보여 유형에 대한 이해 및 보다 창의적이고 엄밀한 기획 제시가 요구됨
ㅇ 전체 예산의 30% 가량을 연구개발에 책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이 미흡하게 적시되어 아쉬움

□ 심사위원 명단
 ㅇ 김병주, 김소영, 양재혁, 정경은, 정진원, 최현주, 황우자 (*가나다 순)

□ 향후 일정
 ㅇ 교부신청 안내 : 2021. 4월 3주 이내 
 ㅇ 선정기관 대상 사전미팅 : 2021. 4월 3주 이내(예정)
 
□ 문의 : 주말예술캠퍼스 사업 담당자 (02-6209-133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