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주요역할 |
---|---|
우리원 |
|
참가자 |
|
운영업체 |
|
유형 | 탐방국 | 인원 | 주요내용 |
---|---|---|---|
사업기획형 (3팀 6명) 연구형 |
이란 | 1 | 코로나시대 <테헤란 예술 여자 고등학교(음악)>의 교육 현황 변화 및 추후 방향성 |
미국 | 2 |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에 따른 해외 예술인 네트워크 사례 및 국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
싱가포르, 미얀마, 미국 |
3 | 실천하는 예술; 재난 이후 커뮤니티 Re-빌딩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재건 및 치유 | |
콘텐츠 개발형 |
미국 | 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화/방송제작 교육 –헐리우드 영화와 미국 TV/인터넷 방송 중심으로 |
일본 | 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예술교육(만화분야) | |
영국 | 2 | 고립된 개인, 언택트 예술교육으로 이웃과 컨택트하다 | |
몽골 | 3 | 헤리티지에 기반한 지속 가능한 문화예술 개발(코로나시대에 발견하는 생활 속 언플러그 문화예술) | |
러시아, 이스라엘 |
2 | 코로나-19 이후 문화예술가들의 대면/비대면 교육 진행 상황 및 교육 콘텐츠 조사 (연극분야 중심) | |
미국 | 2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코로나 시대의 위기를 기회로 삼은 문화예술교육 방안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