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 국가 | 내용 |
---|---|---|
'17.3. | 카자흐스탄 | 유네스코 옵저버토리 지역회의 포럼 진행 및 발제 |
'17.4. | 싱가포르 |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포럼 발제 및 회원기관 연례회의 참석 |
'17.7. | 미국 | 청소년 창의발전(CYD) 내셔널 컨비닝 발제 및 토론 |
'17.10. | 캐나다 | 캐나다 예술교육 네트워크(CNAL) 컨퍼런스 발제 및 토론 |
'17.11. | 일본 |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및 관계자 회의 참석 |
'18.5. | 독일 |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컨퍼런스 및 회원기관 연례회의 참석 |
'18.9. | 미국 | 제 4회 국제 티칭아티스트 컨퍼런스, 이사진회의 참석, ITAC5 한국개최 공식발표 등 |
'18.9. | 콜롬비아 | 한-콜 문화정책포럼 참석 및 발제 |
'18.11. | 미국 | 글로벌 예술·창의교육 온라인 학습플랫폼 Kadenze와 업무협약 체결 |
'18.11. | 베트남 | 베트남 국립문화예술원(VICAS)과 업무협약 체결 |
'18.12. | 중국 |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및 관계자 회의 참석 |
'19.10. | 캐나다 | 유니트윈/CNAL 국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발제 및 유네스코 유니트윈 회원기관 회의 참석 |
'19.10. | 독일 | 세계예술교육연맹(WAAE) 국제컨퍼런스 2010년 서울어젠다 발의 이후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환경변화 및 향후 이행계획 발제 |
연도 | 주제 |
---|---|
2020 | 제5회 국제예술교육실천가대회 <예술은 어떻게 세상의 눈을 바꾸어 가는가: 예술가와 예술교육가의 사회 속 실천과 도전> |
2019 | 국제심포지엄Ⅰ <처음의 시간: 아주 어린 사람들에 대하여> 국제심포지엄Ⅱ <끝없는 시작: 예술로 만나는 탐구자들의 이야기> |
2019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문화기반시설의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 |
2018 | 2018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 |
문화예술교육 공간 국제포럼 <자발적 참여를 이끄는 네모의 변화> | |
국립현대미술관 협력 국제심포지엄 <과학기술과 예술 그리고 창조적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위한 오픈토크> | |
2017 | 2017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신념과 상상, 기쁨을 말하다> |
주한영국문화원 협력 2017 한·영 컨퍼런스 <창의적 나이듦> | |
2016 |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예술가와 예술교육> |
2015 | 2015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지역성의 재발견, 아시아·전통·삶> |
2014 | 2014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장과 활용> |
2013 | 2013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정책비교 연구 결과발표 및 국가별 우수사례 공유> |
2013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 |
2012 |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선포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예술교육, 다양성에서 지속가능성까지> |
2010 | 제 2회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예술교육, 다양성에서 지속가능성까지> |
2007 | 문화예술교육 세미나 <국경을 넘어선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국제교류 사례와 성과> |
2006 | 2006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창의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