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온오프라인 국제교류 네트워크 구축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물인 <서울어젠다:예술교육 발전목표> 1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국내외 문화예술 관계자간 이행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방향을 모색합니다.
담당부서 : 홍보국제협력팀
  • 사업내용

    •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물인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11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계자간 이행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방향을 모색합니다.
    • 예술가, 예술강사, 예술교육실천가, 연구가 등 문화예술교육 분야 다양한 관계자들 간 국제공동 협력사업 및 권역별 회의 활성화를 통해 국내 현장의 국제교류 기회를 확대하고 지속적 추진 기반을 마련합니다.
    • 국제사회 문화예술교육 주요 이슈·동향 등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고 국내 주요 행보 및 성과를 확산, 국제사회 행사에 참가하여 애드보커시 활동을 펼침으로서 한국의 리더십을 확보·발휘해 나갑니다.
  • 지원대상

    •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 지원분야

    • 서울어젠다 11주년 계기, 문화예술교육 분야 핵심 국제행사 개최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국제 사회 인식 강화
      • 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컨퍼런스(UNESCO UNITWIN International conference), 2021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2021 KACES International Symposium)
    • 아세안 국가와의 공동연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신규 협력을 통해 다각적 국제협력 파트너십 확장 및 문화예술교육 아시아 플랫폼 구축
      • 아시아 사회참여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ITAC 한국 사무국 운영
    • 문화예술교육 국내외 정보 분석 서비스 및 온오프라인 교류
  • 사업기간

    • 2021년 1월~12월
  • 주요내용

    • 문화예술교육 국제행사 개최

      • 2021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2021 KACES International Symposium)
        • 사업내용 : 서울 어젠다 발의 11주년을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서울 어젠다 목표 3, △UN SDGs 4.7, △유네스코 2030 교육 어젠다에 제시된 사회적 과제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역할/사례를 알리고, 국제사회에 예술교육 목표 이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환기
        • 행사주제 : 사회· 위기 속 참여적 예술교육의 역할
        • 행사구성 : 환영·축사, 기조발제, 기념공연 등
        • 개최시기 : 2021. 5. 24(월)
        • 참여대상 : 전 세계 문화예술교육에 관계하고 있는 예술가, 예술교육가, 기획자, 행정가, 연구자 등
        • 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제4회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학술대회(The 4th UNITWIN Symposium)
        • 사업내용 : 유네스코 유니트윈 연계 학술대회 개최를 통한 다양한 사회 위기 가운데 놓인 예술교육의 탐구 주제와 활로를 모색하고 국내 예술교육 연구 분야의 국제교류 활성화
        • 행사주제 : 위기의 시대, 행동하는 예술교육 / (영) Arts Education in and through a Time of Crisis: How art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resolving today’s challenges)
        • 행사구성 : 기조발제, 기획토론, 동시다발 발제·토론, 연례회의 등
        • 개최시기 : 2021. 5. 25(화) ~ 26(수)
        • 참여대상 : 국제공모 선정 발표자, 관련 분야 학자 및 연구자, 관계자 등
        • 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유니트윈 조직위원회
          ※ 유네스코 연구 협력사업 ‘유니트윈’ 설립에 동참, 2017년 유네스코 공식 승인을 받고 <유니트윈; 문화다양성과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예술교육 연구>가 발족되었습니다.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등 13개국 예술교육 관련 대학 및 기관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 협력체에서는 연례회의 및 국제컨퍼런스 순회 개최*, 연감(Yearbook) 발간 등의 활동을 공동 추진합니다.
          * 싱가포르(‘17), 독일(’18), 캐나다(‘19), 한국(’21) 개최
    • 아시아권 예술교육 관계자들의 공동협력프로젝트 활성화를 통해 국제교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문화예술교육 아시아 플랫폼으로서 역할 모색

    • 문화예술교육 국제회의ㆍ행사 참가 및 애드보커시 활동 전개

      • 국내외 문화예술교육동향 관련 담론·정책·사례 등을 분석·정리하여 국내 현장에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고 해외 제안과 요구에 대응합니다.
      • 주요 국제회의·행사 참석 및 애드보커시 활동
      • 문화예술교육 국제회의ㆍ행사 참가 및 애드보커시 활동 전개를 보여줍니다.
        시기 국가 내용
        '17.3. 카자흐스탄 유네스코 옵저버토리 지역회의 포럼 진행 및 발제
        '17.4. 싱가포르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포럼 발제 및 회원기관 연례회의 참석
        '17.7. 미국 청소년 창의발전(CYD) 내셔널 컨비닝 발제 및 토론
        '17.10. 캐나다 캐나다 예술교육 네트워크(CNAL) 컨퍼런스 발제 및 토론
        '17.11. 일본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및 관계자 회의 참석
        '18.5. 독일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컨퍼런스 및 회원기관 연례회의 참석
        '18.9. 미국 제 4회 국제 티칭아티스트 컨퍼런스, 이사진회의 참석, ITAC5 한국개최 공식발표 등
        '18.9. 콜롬비아 한-콜 문화정책포럼 참석 및 발제
        '18.11. 미국 글로벌 예술·창의교육 온라인 학습플랫폼 Kadenze와 업무협약 체결
        '18.11. 베트남 베트남 국립문화예술원(VICAS)과 업무협약 체결
        '18.12. 중국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및 관계자 회의 참석
        '19.10. 캐나다 유니트윈/CNAL 국제컨퍼런스 4차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발제 및 유네스코 유니트윈 회원기관 회의 참석
        '19.10. 독일 세계예술교육연맹(WAAE) 국제컨퍼런스 2010년 서울어젠다 발의 이후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환경변화 및 향후 이행계획 발제
      • 영문 뉴스레터 발행 (’20년 13호, 14호 발행)
      • 해외 문화예술교육 자료 조사 및 관리 (‘20년 108여건)
      • 아시아 공동 리서치 프로젝트 및 결과공유 (‘20. 12월)
      • 제5회 국제예술교육실천가대회(ITAC5) 홈페이지 운영 (itac5.org)
  • 기타

    • 국제 심포지엄 개최 현황
    • 국제 심포지엄 개최 현황을 보여줍니다.
      연도 주제
      2020 제5회 국제예술교육실천가대회 <예술은 어떻게 세상의 눈을 바꾸어
      가는가: 예술가와 예술교육가의 사회 속 실천과 도전>
      2019 국제심포지엄Ⅰ <처음의 시간: 아주 어린 사람들에 대하여>
      국제심포지엄Ⅱ <끝없는 시작: 예술로 만나는 탐구자들의 이야기>
      2019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문화기반시설의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2018 2018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
      문화예술교육 공간 국제포럼 <자발적 참여를 이끄는 네모의 변화>
      국립현대미술관 협력 국제심포지엄 <과학기술과 예술 그리고 창조적 문화예술교육 공간을 위한 오픈토크>
      2017 2017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신념과 상상, 기쁨을 말하다>
      주한영국문화원 협력 2017 한·영 컨퍼런스 <창의적 나이듦>
      2016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예술가와 예술교육>
      2015 2015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지역성의 재발견, 아시아·전통·삶>
      2014 2014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장과 활용>
      2013 2013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정책비교 연구 결과발표 및 국가별 우수사례 공유>
      2013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2012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선포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예술교육, 다양성에서 지속가능성까지>
      2010 제 2회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예술교육, 다양성에서 지속가능성까지>
      2007 문화예술교육 세미나 <국경을 넘어선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국제교류 사례와 성과>
      2006 2006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창의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 문의처

    • 홍보국제협력팀 02-6209-595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