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기간 | 학교수 | 학교명 |
---|---|---|
1기 (2008-2011년) |
10 | 부산 금성초, 제주 남원초, 속초 대포초, 울산 반천초, 경북 봉화초, 여수 북초, 남해 삼동초, 포항 송라초, 광주 지산초, 순천 승주초 |
2기 (2011-2014년) |
16 | 전북 간중초, 충남 거산초, 전북 남원초, 경남 남포초, 대전대신초, 대전 동명초, 경기 만선초, 부산 배영초, 경북 백원초, 강원 서상초, 제주 영평초, 경기 옥천초, 강원 인제남초, 충북 칠성초, 전남 한천초, 전남 현산초 |
3기 (2012-2015년) |
10 | 경남 거류초, 전남 고서초, 대구덕성초, 대전 남선초등학교, 전북 당북초, 부산 서명초, 서울개화초, 경기 수남초, 충남 성남초, 경남 창호초 |
4기 (2013-2017년) |
4 | 제주 북촌초, 충북 오선초, 서울창천초, 울산 함월초 |
5기 (2014-2017년) |
13 | 경남 고제초, 대구월성초, 대전 산서초, 충남 송남초, 충북 수안보초, 제주 애월초, 세종 장기초, 경기 조안초, 부산 칠암초, 인천 하점초, 경북 항공고, 경남 성포중, 전북 옥구중·군산남고 |
6기 (2015-2018년) |
20 | 경기 갈곶초, 광주 양동초, 전북 금구초‧중, 경남 금동초, 대구 관천초, 전남 독천초, 충남 부석초, 충남 서천중, 전북 성당초, 울산 성동초, 경기 세월초, 부산 연미초, 충남 연산초, 제주 의귀초, 인천 주원초, 세종 전의초, 강원 철원초, 경기 파주중, 경북 항구초, 전남 화흥초 |
7기 (2016-2019년) |
14 | 충북 감곡초, 경남 광도초, 경남 대진초, 충남 대철중, 경남 명곡여중, 강원 봉양초, 전남 산이서초, 전북 삼례초, 경남 생초초, 경기 송내초, 충남 수정초, 충북 영춘초, 경북 장천초, 강원 춘성중 |
8기 (2017-2020년) |
8 | 강원 비봉초, 제주 수원초, 경남 양보초, 전남 여수남초, 경기 이천단월초, 전북 전주원동초, 충남 한정초, 경기 화진초 |
9기 (2017-2021년) |
8 | 경북 모아초, 경남 상북초, 세종 소정초, 충북 속리초, 부산 장안초, 전남 지산초, 경기 홍원초, 전북 황등남초 |
10기 (2019-2022년) |
15 | 충남 광시중, 전북 남관초, 경북 내남초, 전북 마암초, 충북 문의초, 충북 미원초, 경북 봉계초, 경기 분원초, 강원 서석중, 전남 성지송학중, 경기 수동중, 경북 안동영명, 경남 용덕초, 충북 이월초, 경남 태봉고 |
11기 (2020-2023년) |
15 | 경북 감문중, 전남 나진초, 충남 대남초, 충남 도고온천초, 경북 동해초, 경남 마산의신여중, 충북 보광초, 충북 부용초, 전남 북평초, 강원 상승초, 경북 용성초, 세종 의랑초, 충북 주성초, 충남 천남중, 충남 청라중 |
12기 (2021-2024년) |
11 | 경남 경남전자고, 경북 대룡초, 경남 대합초, 경기 법원여중, 전남 옥곡초, 부산 월내초, 강원 임곡초, 경기 장안여중, 경북 창수초, 충북 청안초, 경북 청통중 |
13기 (2021-2025년) *예비과정 포함 |
8 | 경기 권선중, 경기 금촌초, 경남 숭덕초, 경기 어연초, 경기 연세중, 충남 진산중, 부산 남항초, 충남 병천초 |
계 | 152 |
연도 구분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운영학교 수 | 10 | 10 | 10 | 26 | 26 | 30 | 43 | 47 | 50 | 55 | 50 | 45 | 45 | 57 | 48 |
신규학교 수 | 10 | - | - | 16 | 10 | 4 | 13 | 20 | 14 | 8 | 8 | 15 | 15 | 11 | 8 |
수혜자 수 | 1,718 | 1,630 | 1,555 | 3,528 | 3,634 | 4,115 | 6,022 | 7,408 | 7,637 | 7,827 | 6,585 | 5,079 | 4,591 | 5,806 | 5,175 |
※ 연극, 뮤지컬, 무용, 영화, 미디어, 공예, 디자인,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음악(국악, 서양악, 합창) 등 문화예술교육에 부합하는 다양한 지원 가능
1~11기 | 12기 | 13기 | 비고 | |
---|---|---|---|---|
지원기간 | 3년 | 2년 | 0.5년(예비과정) 2년(정규과정) |
※ 매년 진행되는 평가 결과에 연속 지원 여부 결정 |
추가 지원기간 | 1년 | 2년 | 2년 | ※ 학교 운영결과 및 운영계획에 따른 추가 지원 |
문화예술교육과의 만남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 시범운영을 통하여 씨앗을 심기 위한 텃밭을 다집니다.
문화예술교육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하며 아이들 안에 잠재되어 있는 예술꽃 씨앗을 발견합니다.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으로 아이들에게 잠재된 예술꽃 씨앗을 꽃 피울 수 있도록 성장시킵니다.
아이들의 개성과 특성에 맞게 문화예술교육을 심화하고 집중적으로 지원합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지역사회에 나누고, 지역사회에 뿌려진 예술꽃 씨앗이 다양한 꽃으로 활짝 피어납니다.
지원이 끝난 후에도 학교가 예술꽃 씨앗학교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운영 방안을 모색합니다.
구분 | 세부내용 |
---|---|
주최 | ㅇ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 수립 - 운영 체계 마련 - 예술꽃 씨앗학교 지정 ※ 17개 시․도 교육청 협조 |
주관 |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신규학교 선정 및 사업운영 지원 - 자문 활동(컨설팅), 현장 점검(모니터링)․간담회 등 운영 - 누리집 운영 및 대외홍보 |
운영 |
ㅇ 예술꽃 씨앗학교 - 사업운영 - 교육환경 개선 - 교육과정과 연계한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 |